글꼴 1998년
한글글꼴개발원. 글꼴 1998 한글 글꼴의 역사와 미래. 세종대왕기념사업회. 1998
[타이포그라피에서‘글자, 활자, 글씨’쓰임새 제안.이용제. p583]에 보면 -체는 한대상의 모양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방식이라는 의미에서 볼 때 양식(스타일)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수 있으며, ‘-꼴’은 그 대상의 개별적인 생김새 외에 다른 뜻이 없다. 이는 똑같이 모양새에 관한 낱말이지만 ‘-체’는 여러 대상에서 일정한 모양새가 나타남을 전체로 하며, ‘-꼴’은 다른 대상과 유기적인 관계없이 개별적이고 부분적인 모양새를 가르킨다고 할 수 있다.
필자는 위의 말에 동의한다.
軆(체)의 속자(俗字). 뜻을 나타내는 뼈골(骨☞뼈)部와 음(音)을 나타내는 豊(풍)이 합(合)하여 이루어짐. 豊(풍☞신에게 바치는 많은 물건(物件)을 수북이 담은 것, 여기에서는 여러 가지 갖추어져 있음을 나타냄→체)과 사람의 몸(骨)과 관계(關係)가 있음의 뜻이 합(合)하여 '몸'을 뜻함. 體(체)는 목ㆍ두 손ㆍ두 발 따위 여러 가지 갖추어진 몸 전체를 일컬음을 말하는 한자로서 부분들이 전체의 속함을 마하는 한자라고 생각한다. (네이버 한자사전)
-체는 ‘글씨 따위에 나타나는 일정한 방식이나 격식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서 이용제의 글자체의 말에 뒷받침을 한다.
(네이버 국어사전)
반면에
-꼴은 우리말로서 ‘그 수량만큼 해당함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다. 예를 들어 세 명중 한 명꼴이라는 말과 같이 전체 부분을 말한다.
즉, –체는 부분에서 전체를 말하는 말이라면 –꼴은 전체에서 부분으로 가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.
그러므로 필자는 이용제의 글자체와 글자꼴의 정의에 동의한다.
그래서 이 책의 제목또한 글꼴이 아닌 글자체가 어울린다고 생각한다.
'시각디자인 연구 > 타이포그라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글꼴1999년; 06; 활자의 종류와 변천 (0) | 2013.05.03 |
---|---|
글꼴1999년; 05; 활자의 종류와 변천 (0) | 2013.05.02 |
글꼴1999년; 04; 한글이란. (0) | 2013.05.02 |
글꼴1999년; 03; 글꼴 처리 기술의 발전과정 (0) | 2013.04.29 |
글꼴 1998년; 02 (0) | 2013.04.27 |
글꼴 1998년; 01 (0) | 2013.04.27 |